반응형
전세보증보험이란?
-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금액이 한두 푼 하는 푼돈도 아니다 보니 못 돌려받을 걱정하게 되는데 이를 보험공사가 집주인을 대신하여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고 추후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회수하는 제도이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 전세보증보험 취급기관으론 HUG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보험, HF한국 주택금융공사 가 있다.
- SGI서울보증보험은 전세금보장신용보험이라 하며 보험상품이라 생각하면 되고, HUG주택도시 보증 공사와 HF한국 주택금융공사가 전세보증금 반환으로 보증상품이라 보면 된다. HF한국 주택금융공사에서는 전세 지킴 보증이라고 불린다.
- HUG, SGI, HF 모두 가입대상으로 아파트, 다세대(연립), 단독, 다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이며, 근린생활시설과 불법건축물은 해당되지 않는다. 오피스텔의 경우 공인중개사가 전세계약서 주용도에 주거용으로 표시해야 하며, 구분등기가 필수로 되어있어야 한다.
- 건물과 토지가 임대인의 소유여야 하며, 기관에 채무가 없어야하고 대상 주택이 압류, 경매 등 소유 권리 침해가 없는 상태여야 한다.
- HUG 전세보증보험은 1년이상의 기간으로 전월세 계약 후 계약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에 신청해야 가입이 가능하며, 별도로 집주인 동의를 받을 의무는 없다. 보증금액은 수도권 7억 원 이하, 기타 지역은 5억 원 이하여야 가능하다.
- SGI의 경우 계약서만 있다면 계약당일 바로 신청이 가능하다. 단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는 가입이 불가능 한데 신용대출을 받아 전세자금 대출을 갚는 경우는 가입이 가능하다. 만일 신규 계약 시 전세자금 대출이 필요하다면 전세보증보험 대신 임대인 협조하에 전세금 안심대출보증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보증금액 아파트는 제한이 없고 일반주택은 10억 원 이내까지 보장해준다.
- HF는 수도권 5억원 이하, 기타 지역은 3억 원 이하까지 보장해주며, 전세계약기간 4분의 1이 경과하기 전까지 이니 통상 계약기간 2년 기준으로 6개월 내에 가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세보증보험 수수료는 얼마?
- 보증금액 범위가 넓은 SGI의 경우 HUG나 HF에 비해 수수료가 비싼 편이다.
- SGI의 경우 보증금액 x 보증료율 x 임대차 기간 계산으로 아파트는 전세보증금의 0.192%,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은 연 0.218%이며, HUG의 경우 보증금액 x 보증료율 x 보증기간에 해당하는 일수 / 365 계산으로 아파트는 전세보증금의 0.128%, 주택은 0.154%이다.
- HUG는 임차인에 한해서 연말정산 때 금액 세액공제 혜택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한부모가족이나, 고령자 단독세대주의 경우 60% 수수료 할인이 진행되고 있고, 만 19세~34세 저소득 청년 가구와 연소득 4천만 원 이하의 신혼부부의 경우 50% 수수료 할인이 되고 있다.
- HF의 경우 0.07%이며, 우대의 경우 0.05%까지 할인이 되고 있다.
- SGI의 경우 임대차 기간 전체로 보증료를 산정하는 것에 비해 HUG는 보증기간에 따라 산정하기에 늦게 가입할수록 비용이 절감되며, 보증금 환급에 불이익은 없다. 다만 가입 이전에 집이 경매로 넘어가게 된다면 보험료 조금 아끼려다가 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입할 의사가 있다면 바로 가입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전세보증보험 가입방법은?
- 구비서류를 먼저 준비해야 한다. 구비서류로는 확정일자부 임대차 계약서/ 임차목적물 등기부 등본 (전입신고 이후 발급분) / 임차인 주민등록등본 (초본) / 임대차 사실 확인서 / 전입세대 열람원 / 전세금 지급 확인서류가 필요하다.
- HUG 주택도시 보증 공사, HF 한국 주택금융공사의 경우 영업점 방문 및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일반 시중은행에서도 신청 가능하다. 신청 가능한 시중은행으로는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lbk기업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농협, 수협 등이 있다.
- SGI 서울보증보험은 각 영업지점에 내방하여 신청해야 한다.
반응형
'● 이것저것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투자가 개별 주식보다 더 안전한 이유 (1) | 2021.06.11 |
---|---|
개인형 퇴직연금 IRP 필수일까? (0) | 2021.06.11 |
테이퍼링-테이퍼링이란? (0) | 2021.06.10 |
저축성 보험 이란? (0) | 2021.06.07 |
금리인하요구권 / 나도 가능할까? (0) | 2021.06.02 |
댓글